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실업급여 받는 중 아르바이트 가능할까? | 신고 안 하면 부정수급 될 수 있습니다

by 가방습득 2025. 7. 14.
반응형

실업급여를 받는 중에도 생계 문제로 아르바이트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모든 근로는 반드시 신고 후 진행해야 하며, 미신고 시 불이익이 큽니다. 이 글에서 수급 중 허용되는 아르바이트의 범위와 주의사항을 정리해드립니다.


실업급여 수급 중 근로 원칙

실업급여는 실업 상태에서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는 조건 하에 받을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소득이 발생하는 근로(아르바이트, 단기 계약직 포함)를 하면 고용센터에 반드시 사전 신고해야 합니다.

근로 가능 여부 자체보다 중요한 건 **“정직한 신고”**입니다. 미신고 시 실업급여는 중단되고, 지급된 금액을 **환수당할 수 있습니다.**

 


가능한 아르바이트 유형

실업급여 수급 중에도 다음과 같은 형태의 근로는 가능합니다.

근로 형태 수급 가능 여부
단기 아르바이트 (1~2일) 가능 (신고 필수)
주말 근무, 시간제 근무 가능 (소득·시간 제한 있음)
주 40시간 이상 상시근로 불가 (수급 자격 상실)

주 15시간 미만의 단시간 근로는 ‘취업’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실업급여를 **감액 없이 계속 받을 수 있는 경우**도 있습니다.


신고 방법과 유의사항

  1.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워크넷 접속
  2. ‘취업 사실 신고’ 메뉴 선택
  3. 근무일정, 소득, 사업장 정보 입력
  4. 근무 종료 후 ‘근로 종료 신고’도 필수

한 번의 아르바이트라고 해도 무조건 신고해야 하며, **신고하지 않으면 부정수급으로 간주됩니다.**


신고 안 하면 생기는 불이익

  • 🛑 수급 중단 및 환수 조치
  • 🛑 향후 최대 5년간 실업급여 수급 자격 제한
  • 🛑 부정수급으로 고발당할 수 있음 (형사처벌 가능성)

특히, 4대 보험에 가입되거나 소득이 발생하면 고용센터에서 **자동 감지**되므로 절대 숨길 수 없습니다.


주의할 점 및 실제 경험담

제 경험상, 실업급여 수급 중 단기 알바 제안을 받았을 때 고용센터에 먼저 문의했더니, “신고만 하면 문제없고, 일정 소득 이하일 경우 수급 유지 가능하다”는 답변을 들었습니다.

그 이후 저는 알바 날짜와 금액을 정확히 신고했고, 실업급여는 차감 없이 계속 받을 수 있었습니다. 신고만 잘하면 충분히 병행할 수 있다는 걸 기억하세요!


✔️ 실업급여 중에도 일할 수 있습니다. 단, 꼭! 꼭! 신고하고 시작하세요.

고용보험 취업신고 바로가기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