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구직활동을 증명하는 서류가 꼭 필요합니다. 단순히 “지원했어요”라고 말만 하는 건 인정되지 않아요. 어떤 서류가 인정되는지, 어떻게 준비하고 제출해야 중단 없이 지급받을 수 있는지 알려드릴게요.
입사지원 증빙서류가 왜 필요한가?
실업급여는 ‘구직 활동 중인 사람’에게 지급되는 제도입니다. 따라서 수급 기간 중에는 매월 일정 횟수 이상 **실제 구직활동을 했다는 증거**를 제출해야 합니다. 특히 입사지원은 대표적인 구직활동 유형으로 인정되기 때문에, 관련 증빙서류가 없으면 해당 활동은 인정되지 않아 급여가 줄어들거나 끊길 수 있습니다.
- 보통 4주에 1~2회 이상 구직활동 필요
- 워크넷 외 다른 사이트에서 지원해도 인정받을 수 있음
- 단, 지원했다는 ‘기록’만으로는 부족, 증명자료 필수
입사지원 증빙서류 종류
입사지원 활동을 증빙할 수 있는 서류는 다양합니다. 실제로 제가 제출했던 것들도 함께 소개할게요.
서류 유형 | 예시 | 비고 |
---|---|---|
온라인 지원 내역 | 워크넷, 잡코리아, 사람인 지원내역 캡처 | 지원날짜, 회사명, 공고명 명확히 보여야 함 |
이메일 지원 증빙 | 이력서/자기소개서 제출 메일 송신 내역 | 발신자, 수신자, 날짜, 첨부파일 표시 |
팩스/우편 지원 | 팩스 전송증, 우체국 접수증 등 | 회사명과 날짜 확인 필수 |
회사 방문 지원 | 방문기록 확인서, 응시원서 사본 등 | 담당자 서명 또는 회사 도장 필요 |
※ 저는 주로 워크넷과 잡코리아에서 지원했고, **화면 캡처 후 PDF로 저장해서 제출**했어요.
서류 제출 방법
- 1차 실업인정일에는 온라인 제출이 불가능하며 고용센터 방문 필수
- 2차부터는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온라인 제출 가능
- 파일 형식은 PDF, JPG 등으로 준비 (크기 제한 있음)
제출 절차:
- 고용보험 홈페이지 로그인
- 마이페이지 → 실업인정 신청
- 구직활동 입력 후 증빙서류 파일 첨부
※ 저는 2차부터는 온라인으로만 제출했는데 훨씬 편리했습니다. 단, 파일명에 날짜와 회사명을 꼭 표시하는 걸 추천드려요.
실수 없이 준비하는 팁
- 지원 직후 바로 캡처 및 저장 (기억이 흐려지기 전에)
- 지원서에 지원일자, 회사명, 공고명 명확히 표시되도록 캡처
- 메일지원 시 제목, 내용, 첨부파일 모두 보이도록 캡처
- 활동별로 폴더 정리 (ex. 2025_07_지원서류_잡코리아)
저는 ‘실업급여_서류’라는 폴더를 만들어 날짜별로 저장했고, 4주마다 실업인정일 전날 정리해두면 훨씬 수월했어요.
✔️ 실업급여는 ‘적극적 구직활동’이 핵심입니다. 입사지원도 증빙이 없으면 무효! 미리미리 준비하세요.
고용보험 홈페이지 바로가기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