실업급여 신청 조건 중 가장 중요한 기준이 바로 ‘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’입니다. 하지만 단순히 6개월 근무했다고 다 되는 건 아니에요. 이 글을 통해 정확한 기준과 계산법을 확인해보세요!
왜 180일 기준이 중요한가요?
실업급여를 받기 위한 핵심 조건 중 하나는 바로 퇴사 전 18개월(540일) 내에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180일 이상이라는 점입니다.
이 180일을 기준으로 실업급여 수급자격이 결정되기 때문에, 정확한 계산이 필요한 부분이에요. 특히 **단기 계약직**이나 **육아·병가 휴직** 이력이 있다면 더 주의해야 합니다.
피보험 단위기간이란?
피보험 단위기간이란 실제 출근하여 근무한 날 수를 말합니다. 고용보험법상, 주 1일 이상 근무한 주는 1일로 간주되어 누적됩니다.
구분 | 포함 여부 |
---|---|
출근일 (근무한 날) | ✔ 포함 |
주말, 공휴일 | ✘ 미포함 |
유급휴가 | ✔ 포함 |
무급휴직, 육아휴직 | ✘ 미포함 |
180일 계산 방법
실업급여 자격을 위한 180일은 ‘고용보험에 가입된 상태에서 실제 근무한 날’을 의미합니다.
- 정규직/계약직 : 월~금 근무 기준 월 약 22일 → 180일 채우려면 약 8개월 근무
- 주 3일 아르바이트 : 주 1일 이상 근무한 주 = 1일로 간주 → 약 180주가 필요
- 시급직 : 주당 출근 기록이 남는 주만 인정
주 1회라도 출근한 주는 1일로 인정되므로, 주 단위로 계산되는 점이 중요합니다.
계산 예시와 주의사항
예시 1: 2024년 9월 1일부터 2025년 3월 10일까지 주 5일 정규직 근무 → 약 6개월 반 = 약 130근무일 → 아직 부족함 (최소 8개월 이상 필요)
예시 2: 2024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아르바이트 주 3회 → 주 1회 이상 출근 주가 약 50주 → 피보험 일수 = 50일 (미달)
주의: - 연차는 유급일수로 포함됩니다. - 휴직·출산휴가는 무급 시 제외됩니다. - 단시간·간헐적 근무자는 반드시 주단위로 계산해야 합니다.
내 피보험 일수 확인 방법
- 고용보험 홈페이지 (ei.go.kr) 접속
- [개인서비스] → [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]
- 피보험 단위기간 확인
- 180일 이상이면 실업급여 신청 자격 조건 만족!
✔️ 180일 기준, 애매하다면 꼭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. 조건은 충족됐는데 놓치면 정말 아깝습니다!
피보험 일수 확인하러 가기